우리가 조직 신학 신론 중에서 하나님의 본질에 대해서 공부하게 됩니다. 하나님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의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하나님이 확실히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믿음으로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의 뜻을 헤아릴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성경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속성과 하나님의 주권을 깨달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본질 중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있습니다. 하나님이 사랑하셔서 독생자 예수님을 우리에게 보내 주셨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음으로 최고의 사랑을 나타내셨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공부하면서 하나님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믿고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성도가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본질과 하나님 존재의 증명
성경은 구원에 관한 책이다. 구원에는 구원의 주제가 있기 마련인 바, 그 주체가 바로 하나님이시다. 따라서 성경 교리를 세움에 있어, 교리의 방법론과 근거를 고찰한 서론에 이어 구원의 주체이신 하나님을 먼저 다루는 것은 지극히 타당하다. 그 이후에야 비로소 하나님이 창조한 인간과 인간의 구원을 위한 신적 사역 및 그 과정을 효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리를 세우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님에 관하여 바른 인식을 갖는 일이 심히 중요하다. 이는 만물이 그로부터 나오고 그분에게로 귀착되기 때문이다(롬 11:36). 따라서 혹자는 하나님에 관한 교리를 교리의 일부분으로 뿐만 아니라 전부로서 이해하기도 한다.
● 하나님의 본질
성경을 접하지 못한 사람에게도 미약하나마 절대자에 대한 관념은 있다. 이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까닭이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이 죄로 오염되었으므로, 특별 계시인 성경을 통하지 않고는 하나님을 정확히 알 수 없다.
1. 하나님을 아는 지식
인간은 유한하므로 무한하신 하나님을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불가지론(不可知論)이 있다. 그러나 인간은 실제로 신관념(神觀念)을 갖고 있으며, 성경은 모든 인간이 자연 만물을 통하여 하나님을 알 수 있다고 증거 한다(롬 1:19,20). 이처럼 인간은 정확하지는 않다고 할지라도 하나님의 존재와 그 절대성을 알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하나님에 대한 완전한 이해는 불가하다고 보는 불가 이해성(Incomprehensibility)은 타당하나 불가지론(agnosticsm)은 성립될 수 없다.
1) 선천적 지식
인간은 선천적으로 마음속에 신 관념을 갖고 태어난다. 그러나 그 선천적 신 관념이란 지극히 미미(微微) 하기 때문에 출생 후에 하나님의 계시와 접함으로써만 온전한 형태의 신 관념에 이르게 된다.
2) 후천적 지식
인간의 지식이 후천적 노력의 결과이듯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도 일반 계시와 특별 계시에 대한 습득과 연구에 의해 생겨난다. 즉, 선천적인 신 관념 곧 종교적 소질을 계발함으로써,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소유할 수 있다.
2.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증명
특별 계시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하나님의 존재는 합리적으로 어느 정도 증명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하나님의 구체적 속성에 대해 증명할 수는 없지만 합리적 유신 논증(合理的 有神論證)을 통하여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서는 보여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독교를 변증(辨證)하고 전도하는데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1) 존재론적 증명(Ontological Argument)
절대자에 대한 인간의 관념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시도이다. 즉 인간이 신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러한 신 관념을 갖게끔 하는 절대자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는 것이다(Anselm, Descartes, Clarke).
2) 우주론적 증명(Cosmological Argument)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고 하는 인과론적(因果論的) 접근 방법이다. 즉, 만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것들을 존재케 한 제일 원인(第一原因)이 반드시 있을 수밖에 없다는 논증이다(Locke, Leibnitz).
3) 목적론적 증명(Teleological Argument)
자연 만물이 질서를 유지하되 혼돈에 이르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그 질서를 유지하는 어떠한 이성적 존재가 필연적으로 있다는 논증이다(Teleophilus, Clement).
4) 도덕론적 증명(moral Argument)
이 사회에는 권선징악(勸善懲惡)을 권장하는 도덕적 판단이 있다. 또한 개인의 양심도 악을 미워하는 성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선을 지향하는 도덕적 성향은 곧 이 사회를 도덕적으로 인도하려는 도덕적 주권자의 존재를 증명한다는 것이다(Kant).
5) 종속론적 증명(Ethnological Argument)
비록 형태는 다르지만 지상의 모든 종족이 보편적인 신 관념과 종교를 가졌다는 것은 절대자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입증한다는 것이다.
6) 성경적 증명(Biblical Argument)
앞에서와 같은 합리적 유신 논증은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유한한 인간의 증명시도로서 필연적으로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성경은 하나님의 존재를 이론적인 유추에 의해 증명하지 않고 곧바로 하나님의 존재를 당연한 전제로 하고 있다(창 1:1). 따라서 믿는 자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가장 완전한 증명이 된다.
3.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에 대한 지식
위에서 언급한 유신 논증을 통해서는 하나님의 구체적 속성을 알 수 없지만, 특별 계시의 기록인 성경을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하나님의 구체적 속성을 알 수 있다.
1) 영성(靈性)
하나님은 육신이 없으신 영이시므로(요 4:24), 손으로 만져지거나 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님은 영이시기에, 초월하실 뿐만 아니라 편재(偏在)하실 수도 있다(렘 23:23).
2) 완전성(完全性)
하나님은 여러 신 중의 하나가 아니고 유일하신 분이므로, 투쟁하거나 혹은 발전하실 필요가 없다. 또한 완전하시어 피조물과도 철저히 구별되신다(출 15:11; 시 147:5).
3) 단순성(單純性)
하나님은 다른 요소들과 혼합되어 존재하시는 분이 아니다. 오직 절대 완전 하심으로 자존(自存) 하시는 하나님은 어떤 도움도 필요치 않으신다.
[히브리서 13장 강해 성경말씀] 사랑과 선행에 힘쓸 것(히 13:1-25)
[히브리서 13장 강해 성경말씀] 사랑과 선행에 힘쓸 것(히 13:1-25)
히브리서 13장에서는 경건한 삶을 살아야 할 것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구원받은 성도는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 자 범죄를 지으면서 살았다면 매일같이 하나님 앞에서 회개해야 합니
drn153.tistory.com
'두란노 서원 성경공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 절기 성경공부] 기독교 대강절 기념 예배 설교 자료 (0) | 2022.07.21 |
---|---|
[창세기 12장 원어성경 해석 방법] 아브라함이 받은 축복(창 12:2-3) (0) | 2022.07.09 |
[구약 성경 지리 성경공부] 구약 족장시대의 동방 세계 (0) | 2022.06.29 |
[하나님 성경공부] 하나님의 예정 성경공부 (0) | 2022.06.29 |
[고린도전서 헬라어 성경공부] προφητεια(프로페테이아) 예언 은사 (0) | 2022.05.26 |
[교회 헌금 성경공부] 고린도 교회를 통한 연보(헌금)의 중요성 (0) | 2022.05.04 |
[신약성경 공부자료] 물고기 153마리와 사복음서 나타난 153명의 비밀 (0) | 2022.04.27 |
[로마서 구원 성경공부] 구원의 4단계 (롬 8:30절)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