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란노 서원 구약 강해

[출애굽기 히브리어 주석강해] 아론의 지팡이가 뱀이 된 사건(출 7:8-13)

두란노 서원 2021. 12. 15. 12:23
반응형

출애굽기 7장에서는 모세와 아론이 바로 왕 앞에 가서 지팡이로 뱀이 되는 기적을 나타냅니다. 모세가 지팡이를 던지니 뱀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요셉의 마술사들도 각자 지팡이를 던지니 뱀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아론의 지팡이가 그들의 지팡이를 삼켰습니다. 그런데도 바로 왕의 마음은 강퍅하여 여호와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았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에서 놓아주기 싫어합니다. 바로 왕은 이스라엘 백성이 자신의 재산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아론의 지팡이가 뱀이 된 사건(출 7:8-13)

 

8절 바요메르 아도나이 엘 모셰 비엘 아하론 레모르

성 경: [출7:8]

주제1: [모세와 바로의 대결 - 피 재앙]

주제2: [바로 앞에 행한 지팡이 이적]

󰃨 여호와께서...가라사대 - 혹자는 머리말 형식으로 자주 반복되는 이 말을(3:5, 12;4:3, 21; 5:1; 6:1 ) 지루하고 무의미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님께서 모든 역사의 주권자이심을 분명히 선언하는 위대한 선포로 간주되어야 마땅하다.

9절 키 이다베르 알레켐 파르오 레모르 티누 라켐 모페트 비아마리타 엘 아하론 카흐 에트 마티카 비하쉴레크 리피네 파르오 이히 리탄닌

성 경: [출7:9]

주제1: [모세와 바로의 대결 - 피 재앙]

주제2: [바로 앞에 행한 지팡이 이적]

󰃨 이적을 보이라(테누 라켐 모페트) - 여기서 '테누'는 '행하다'란 뜻인 '나탄'의 명령형(행해 보라)으로 바로의 오만불손함을 암시하는 말이며, '라켐'은 '너희를 위하여'란 뜻이다. 따라서 문자적으로 본 구절은 '너희 자신을 (입증해 보이기) 위하여 이적을 (한번) 행해 보라'로 옮길 수 있다(Modern Language Bible, 'Identify yourselves by a miracle'). 고대 애굽인들은, 소위 신의 사신(使臣)으로 자임하는 자들은 기적적인 증거로써 자신들을 보낸 신()의 능력을 증명해 보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 명하기를(아마르) - '명령하다'(6:10). '지정하다'(20:29), '말하다'(41:26)는 뜻으로 개역 성경의 번역은 문맥상의 의미를 잘 드러내 준다. 즉, 모세는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명령(2)을 이제 하나님의 대언자로서의 권위를 가지고 자신의 대언자인 아론에게 '명해야' 했다.

10절 바야보 모셰 비아하론 엘 파르오 바야아슈 켄 카아셰르 치바 아도나이 바야쉴레크 아하론 에트 마테후 리피네 파르오 비리피네 아바다이브 바이히 리탄닌

성 경: [출7:10]

주제1: [모세와 바로의 대결 - 피 재앙]

주제2: [바로 앞에 행한 지팡이 이적]

󰃨 아론이...지팡이를 던졌더니 - 이 지팡이는 본래 모세의 지팡이이지만(4:2), 모세가 아론에게 하나님의 명령을 전하면서 때로 그것을 아론에게도 넘겨준 듯하다. 따라서 성경은 '모세의 지팡이''아론의 지팡이'를 구분 없이 교호적(交互的)으로 사용하고 있다(8:5, 17).

󰃨 (탄닌) - 구약 성경에서 ''으로 번역된 히브리어에는 세 가지가 있다. (1) '나하쉬'는 일반적 의미에서의 뱀을 통칭한다(4:3; 3:1; 21:6). (2) '사라프'는 주로 치명적인 독성을 지닌 독사류를 지칭한다(21:8; 14:29). 그리고 (3) '탄닌'은 뱀처럼 생긴 괴물(32:33; 시 91:13)을 각각 지칭한다. 따라서 '탄닌'''(148:7), '리워야단'(27:1) 등으로도 번역되나 여기서는 '코브라'를 가리키는 듯하다. 왜냐하면 애굽의 바로들은 그들의 왕관 중앙에 금으로 만든 코브라의 형상을 붙여 자신들의 왕권을 상징하였기 때문이다.

11절 바이크라 감 파르오 라하카밈 비라미카쉬핌 바야아슈 감 헴 하리티메 미츠라임 빌라하테헴 켄

성 경: [출7:11]

주제1: [모세와 바로의 대결 - 피 재앙]

주제2: [바로 앞에 행한 지팡이 이적]

󰃨 박사 (하카밈) - 점성술, 행정학. 지리학 등에 관한 폭넓은 식견을 구비한 자들로서 필요시 언제든지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애굽의 현자(賢者)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 박수 (메카쉐핌) - 애굽의 태양신 ''(Ra)를 섬기던 남자 제사장들(priests)이다. 이들은 실제 주문(呪文)을 외워 마법을 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후일 바울은 유대교 전승에 근거하여 이들의 이름을 '얀네''얌브레'라고 구체적으로 밝혔다(딤후 3:8).

󰃨 술객(하르툼밈) - '보다', '설명하다'란 뜻의 '후르'와 '감추다', '숨기다'란 뜻의 ''이 결합된 형태로 문자적으로는 '숨겨긴 신비한 것들을 보고 설명하는 자'란 뜻이다. 즉 이들은 주로 비밀스러운 것들을 다루던 소위 예언들자로서 일반적으로 주문이나 마법 등을 연구하고 행하던 자들에 대한 통칭적 표현이다 <창 41:8>.

󰃨 그 술법으로 그와 같이 행하되 - 여기서 애굽 술객들은 실제로 지팡이를 뱀으로 만들었던 것이 아니라, 본래 뱀을 일종의 최면술로 뻣뻣하게 마비시켰다가 던지면서 그 뱀을 다시 원상태로 풀었던 것으로 짐작되는데, 이는 고대 애굽에서 흔히 성행했던 마술의 일종이었다(Pulpit Commentary). 설령 그들의 이적이 초자연적 능력에 의해 발생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사단의 역사를 따라 행하는 거짓 기적과 불의의 속임수에 불과하다(살후 2:9).

12절 바야쉴리쿠 이쉬 마테후 바이히우 리탄님 바이빌라 마테 아하론 에트 마토탐

성 경: [출7:12]

주제1: [모세와 바로의 대결 - 피 재앙]

주제2: [바로 앞에 행한 지팡이 이적]

󰃨 삼키니라 - (삼켜)'없애다', '파괴하다' 등의 뜻으로 악인에 대한 하나님의 단호한 징벌을 묘사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되는 말이다(21:9). 한편 당시 애굽의 바로들이 착용하던 왕관에는 뱀(코브라)의 문양이 새겨져 있었는데, 이 뱀은 바로의 왕권과 통치력을 상징하였다. 따라서 아론의 지팡이 뱀이 바로 일당의 뱀을 삼킨 것은 하나님의 권세 앞에 바로의 권세가 감히 대항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바, 구체적인 예로서 세 번째 재앙부터는 감히 애굽 술객들이 모세의 이적을 흉내조차 낼 수 없었고(9:19), 따라서 마침내 바로는 출애굽을 허락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다(12:31).

13절 바예헤자크 레브 파르오 비로 샤마 알레헴 카아셰르 디베르 아도나이

성 경: [출7:13]

주제1: [모세와 바로의 대결 - 피 재앙]

주제2: [바로 앞에 행한 지팡이 이적]

󰃨 바로의 마음이 강퍅하여 - (4:21; 7:3). 바로 왕은 마음이 강퍅해져 여호와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았다. 이스라엘 백성은 그 당시 재산이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로 삼아서 일을 시켰기 때문에 노동력의 상실은 큰 손해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누가복음 10장 예수님의 말씀] 마리아와 마르다 이야기(눅 10:1-42)

 

[누가복음 10장 예수님의 말씀] 마리아와 마르다 이야기(눅 10:1-42)

누가복음 10장에서 예수님은 말씀합니다. 추수할 것은 많은데 추수할 일꾼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추수할 일꾼이 적어서 추수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세상에 70명의 제자를 파

drn15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