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란노 서원 신약 강해 441

[성경 인물 설교문] 사가랴 - 의심함으로 벙어리가 되었던 제사장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경 인물 설교문 중에서 사가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가랴 ― 의심함으로 벙어리가 되었던 제사장 1. 인적 사항 ① 사가랴는 ‘여호와께서 기억하고 계시다’라는 뜻. ② 세례 요한의 아버지(눅 1:59, 60). ③ 마리아의 친척인 엘리사벳의 남편(눅 1:5, 36). ④ 아비야 반열의 제사장(눅 1:5). 2. 시대적 배경 가이사 아구스도(Caesar Augustus, B.C.27-A.D.14년)가 로마 황제로 있던 시기, 그리고 로마에 의해 임명된 헤롯 대왕(the Great Herod, B.C.37-4년)이 팔레스틴 전역을 통치하던 당시의 제사장으로 활동한 인물. 이 당시 유대는 로마 식민 통치 하에 정치적으로 매우 불완전했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도 극도로 타락해 있었다. ..

[성경 인물 강해 설교문] 살로메 - 헌신적으로 주를 따른 여제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경 인물 강해 설교문 중에서 살로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살로메 ― 헌신적으로 주를 따른 여제자 1. 인적 사항 ① 살로메는 ‘평화’라는 뜻. ② 예수님의 제자 야고보와 요한의 어머니(마 20:20, 21). ③ 세베대의 아내(마 27:56). ④ 갈릴리에서 예수의 처형장인 골고다까지 쫓아간 여인(막 15:40, 41). 2. 시대적 배경 예수께서 공생애를 막 시작하던 A.D. 27년 경부터 예수를 따랐던 인물. 그 당시는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매우 낮았다. 3. 주요 생애 예수 영접 이전 출생 ― ― 세베대와 결혼 ― 마 27:56 야고보와 요한 생산 ― ― 갈릴리에서 예수님을 영접함 A.D. 27년 막 15:40,41 예수 영접 이후 두 아들을 예수께 드림 A.D. 27년 ..

[12 제자] 야고보 - 예수의 열두 사도 중 최초의 순교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12제자 중에서 최초의 순교자 야고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야고보 ― 예수의 열두 사도 중 최초의 순교자 1. 인적 사항 ① 야고보는 ‘발꿈치를 잡다’라는 뜻으로 히브리어 ‘야곱’의 헬라어 표기임. ② 세베대와 살로매 사이의 아들(마 4:21;27:56). ③ 사도 요한의 친형제(마 4:21). ④ 갈릴리의 어부 출신으로 12사도 중 한 사람(마 4:21, 22). ⑤ 예수님으로부터 ‘보아너게’, 즉 ‘우뢰의 아들’이라는 별명 얻음(막 3:17). 2. 시대적 배경 예수의 공생애 초기인 A.D.27년경에 12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부름 받아 헤롯 아그립바 1세(A.D.37-44년경)에 의해 A.D.44년경에 순교당하기까지 활동한 인물이다. 당시 로마에 의해 유대와 사마리아 지역의 ..

[신약 성경 인물 설교문] 세례 요한 - 주의 길을 예비한 광야의 선구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약 성경 인물 설교문 중에서 세례 요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세례 요한 ― 주의 길을 예비한 광야의 선구자 1. 인적 사항 ① ‘요한’은 히브리명 ‘요하난’의 헬라어 음역으로 ‘여호와는 은혜로우시다’라는 뜻. ② 아비야 반열의 제사장 사가랴와, 아론의 자손 엘리사벳의 아들(눅 1:5). ③ 예수의 친척으로 예수보다 6개월 먼저 태어남(눅 1:26, 39-56). ④ 유대 광야에서 거주(마 3:1; 눅 1:80). ⑤ 요단 강에서 세례를 베풀었다 하여 ‘세례 요한’이라 불림(마 3:6). 2. 시대적 배경 헤롯 대왕 (B.C.37-A.D.4년)이 죽기 바로 직전인 B.C. 5년에 태어나 예수와 거의 동시대에 활동한 인물. 그가 활동하기 시작하던 때에 유대는 로마의 식민 통치하에서 ..

[성경 지명 원어 설교문] 두라 Dura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경 지명 원어 설교문 중에서 두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두라 Dura 1. 지명과 위치 1) 아람어로는 Dura, LXX는 Deeira이다. 2)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신상을 세웠던 곳이다. 3) 히브리 성경에서는 (두라-단3:1)로 언급된다. 2. 두라의 지역에 대한 견해들 1) 아마도 두라는 텔 데르(Tell-Der)를 말하는 것같다. 두루(Duru)라고 불리는 바벨론식의 지역들이 있는데 두라라는 말은 바벨론어로 '벽'(wall)을 뜻한다. 텔 데르는 바그다드 남서쪽으로 27Km 떨어진 곳이다. 2) 두라의 위치에 대해서 제기되는 장소들 가운데는 두라-유로포스(Dura-Europos)와 하볼과 유프라테스 강이 만나는 바벨론 남쪽 툴룰 두라(Tulul Dura)가..

[성경 지명 강해 설교문] 데살로니가 Thessalonica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경 지명 강해 설교문 중에서 데살로니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데살로니가 Thessalonica 1. 지명과 위치 1) 그리스 북부는 알렉산더 대왕의 고향일 뿐만 아니라 비잔틴 제국 시절에는 수도 콘스탄티노플과 나란히 그리스 본토의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곳이다. 2) 마게도냐의 주요 도시로서 현재의 살로니카(Salonika), 혹은 테살로니키(Thessaloniki)이다. 3) 현재의 데살로니가는 수도 아테네 다음가는 제2의 도시이다. 4) 현재의 인구는 교외까지 포함하여 약 70만명 정도이다. 5) 테르마이크(Thermaic) 만을 이용하여 상공업의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리고 있다. 2. 데살로니가 설립 배경 1) 마게도냐의 영웅은 알렉산더 대왕이다. 그는..

[성경 지명 원어 설교문] 데만 Teman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경 지명 원어 설교문 중에서 데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데만 Teman 1. 지명과 유래 1) 히브리어로는 תימן(테만)으로 '남쪽, 남풍'을 의미하며, 주로 시인들이 이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2) 에돔의 족장이 된 엘리바스의 아들이며, 에서의 자손들이 거주했던 에돔의 한 지명이다(창36:11,15암1:12). 3) 데만과 보스라는 에돔의 전체 지역을 나타내고 있다(암1:12). 4) 이곳의 거주자들은 그들의 지혜로 인하여 명성을 얻었다(렘49:7). 5) 욥의 친구 엘리바스의 고향이다(욥2:11). 2. 에돔에서 데만의 위치 1) 에돔의 수도는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는 명확하지 않았다. 아마도 정해져 있지 않은 채, 이 도시에서 저 도시로 이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경 지명 원어 설교문] 데마 Tema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경 지명 원어 설교문 중에서 데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데마 Tema 1) 히브리어로는 תימא(테마)이다. 2) 데마는 이스마엘의 아들이다(창25:15대상1:30). 또한 이 이름은 아라비안 족을 이룬 그의 후손들과 현재 북서 아라비아(사21:14렘25:23)에 있는 그들의 고향인 테이마(Teima)를 말한다. 3) 아카바에서 동남동으로 약 200마일, 메디나에서 북북동으로 약 200마일 떨어져 있는 오아시스인 현재 테이마와 동일한 곳이다. 4) 두 개의 대로가 교차하는 곳에 자리하고 있어 대상들이 이곳에서 쉬어 갔다. 2. 성경에서의 언급 1) 사막의 긴 거리를 여행하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는 데만의 대상들이(욥6:19) 실제로 여행했던 도시가 데만이었던 것으로 보..

[성경 지명 강해 설교문] 데라 Terah

안녕하세요. 오늘은 성경 지명 강해 설교문 중에서 데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데라 Terah 1. 명칭 1) 히브리어로 תרח (테라흐)이고, 헬라어로 Θαρα (타라)이다. 2) 데라는 아브람의 부친이며 셈의 자손이다(창11:26눅3:34대상1:26). 3) 또한 나홀의 아들이며(창11:24-25), 205세에 하란에서 죽었다(창11:32). 2. 지명과 유래 1) 제사 문서(P)에 따르면 데라의 고향은 남바벨론에 있는 우르였다. 2) 데라는 아브람과 롯, 사래와 함께 가나안으로 가기 위해 우르를 떠났지만 하란에 도착하자 이곳에 머무르다 일생을 마쳤다(창11:31-32). 3) 야웨 문서(J)는 족장들의 원고향을 아람 나하라임(Aram-naharaim)으로 주장하고 있다(창24장;창27..

[신약 지명 원어 설교문] 데가볼리 Decapolis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약 지명 원어 설교문 중에서 데가볼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데가볼리 Decapolis 1. 지명과 위치 1) 알렉산더 대왕 사후에 세워진 '열 개의 헬라 도시들'의 연맹을 말한다. 2) 갈릴리 바다 주변 남쪽의 넓은 지역으로 서쪽의 벳샨 지역도 포함된다. 2. 역사 1) 헬라인들이 주전 200년 초에 가다라(Gadara)와 필라델비아(Philadelphia) 도시들을 점령하였다. 2) 알렉산더 얀네우스(A.Janneus)가 그 중의 일부 도시들을 정복한 후에, 이 도시들은 유대인의 지배를 받았다. 3) 주전 63년에 폼페이(Pomphey)는 히포스(Hippos), 스키토폴리스(Scythopolis), 펠라(Pella)와 같은 도시들을 유대인들에게서 빼앗았고 그 도시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