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란노 서원 신약 강해 441

[신약 인물 강해] 세례 요한(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중에서 세례 요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세례 요한 제목 :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 1. 죄에 대한 회개를 전파할 자 1) 그리스도와 그의 복음을 받아들이는 마음(행 10:43, 행 4;12) 구원에 이르기 위해서는 그리스도를 믿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지금까지의 구원 역사를 통해서 이 진리는 분명히 입증되었으며 또한 앞으로도 이 진리는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믿음은 구체적으로 그리스도의 말씀, 즉 복음을 들음으로 말미암습니다(참조, 롬10:17). 복음을 들음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추악한 죄를 바라보게 되고 죄를 회개하게 되며 구원 얻는 믿음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세례 요한의 삶..

[신약 지명 원어 강해] 나사렛 Nazareth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지명 중에서 나사렛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나사렛 Nazareth 1. 지명의 의미와 위치 1) 나사렛의 그리스식 지명은 '나자렛'(Ναζαρεθ)이며 히브리어의 '네트세르'를 번역한 것이다. 2) 구약성경에는 단 한번도 도시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았다. 유다 전쟁 당시 군 작전을 위하여 갈릴리 지역을 담당한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글에 갈릴리 지역의 45개 지역에 대한 명칭을 적으면서도 나사렛은 언급하지 않고 있다. 3) 구약성경이나 요세푸스, 그리고 탈무드에 단 한 번도 나사렛이라는 이름이 등장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나사렛이 오래 전부터 인간이 거주했다는 증거가 고고학적 발굴을 통하여 입증되고있다. 4) 가이사랴..

[신약 인물 설교문] 살로메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설교문 중에서 살로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살로메 제목 : 살로메 1. 갈릴리에서 예루살렘까지 1) 예수 주위의 여자들(엡 2:20, 눅 8:2-3) 예수님의 사역은 크게 대중을 상대로 복음을 전파하는 사역과 자신이 선택하신 열두 제자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셨고, 그들은 예수님의 의도대로 초대교회의 기초로서 훌륭한 사역을 감당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기초 사역에서 예수님과 제자들의 물질적 필요를 채우고 섬기던 자들은 막달라 마리아나 요안나, 수산나 같은 여자들이었습니다. 그녀들은 자기들의 소유로 예수님을 섬겼습니다. 그녀들은 대외적, 공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았으나 예수님의 사역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

[신약 인물 강해 설교] 삭개오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중에서 삭개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삭개오 제목 : 삭개오 1. 뽕나무 위의 세리장 1) 세리장(마 9:11, 마 22:17) 예수님 당시의 유대는 로마의 속국이 되어 있었습니다. 로마의 속국으로서 유대는 로마에 많은 액수의 세금을 바쳐야 했습니다. 로마가 유대인의 세금을 걷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들이 바로 세리였습니다. 그러나 세리는 동족들로부터 돈을 착취하여 로마에 아부하고 그 자신들도 부를 쌓았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로부터 창기와 같은 죄인으로 취급받았습니다. 삭개오는 그의 이름이 '순결'이라는 뜻이었으나 세리장이 되기까지 더욱 열성적으로 세리의 일을 하였고, 그래서 부자가 되었지만 사람들로부터는 따돌..

[탕자 비유 설교] “가깝고도 먼 길”(눅15:11-24)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예수님의 비유 중에서 탕자의 비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깝고도 먼 길”(눅15:11-24) ✱명제: 아버지를 떠나는 것은 쉬워도 돌아오는 것은 어렵다. ✱목적: 회개의 마음으로 아버지께 돌아와야 한다. 들어가는 말 할렐루야! 하나님의 은총이 임하시는 역사가 있기를 기도합니다. 오늘 하나님의 말씀은 “가깝고도 먼 길”이라는 말씀입니다. 무엇이 가깝고 무엇이 멀까요? 아버지의 품이 가까우면서도 멀어지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사람에게는 ‘심적 거리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특히 부부관계에 있어서 아주 잘 나타납니다. 이 ‘심적 거리감’은 육체는 가까이 있어도 마음에서 멀어져 있는 것입니다. 부부나 가족이 함께 살아도 마음은 멀리..

[신약 인물 강해] 사가랴(무자(無子)로 인한 근심)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중에서 사가랴에서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사가랴 제목 : 무자(無子)로 인한 근심 1. 거룩한 근심 1) 의로운 사가랴 부부(창 6:9, 마 13:43) 사가랴 부부는 의인이었습니다. 사실 성경에서 완전한 의인으로 불린 자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구약의 노아가 또한 의인으로 불렸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의인이란 백 퍼센트 완전한 인간이란 말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완전하게 살려고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신실한 자라는 말입니다. 이렇게 의로운 삶을 살았지만 사가랴 부부에게는 자녀가 없었습니다. 실로 의로운 자라도 이렇게 가정이나 부부 사이에 완전 무결하게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닌가 봅니다. 사가랴 부부 역시 이렇게..

[신약 인물 설교문] 빌립-집사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설교문 중에서 빌립 집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빌립-집사 제목 : 전도자 1. 일곱 집사 중 한 사람 빌립 1)헬라파 유대인과 히브리파 유대인의 불화(행 6:1, 행 2:44-45) 초대교회 당시 예루살렘 교회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습니다. 그중 대표적 문제는 과부들의 구제 문제였습니다. 즉, 예루살렘 교회에는 디아스포라 유대인으로 헬라의 혈통을 가진 헬라파 유대인 과부들과 순수 본토 출신 유대인 과부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구제하다 보니 뜻하지 않게 헬라파 유대인들이 구제에서 제외될 때가 있어 다소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그리하여 후에는 예루살렘 교회 성도들이 서로 불화하는 계기가 되고 ..

[신약 인물 강해 설교] 빌립-제자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중에서 예수님의 제자인 빌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빌립-제자 제목 : 와 보라 1. 복음을 들으라는 권면 1) 복음을 들음(고후 5:17, 마 4:19) 빌립은 예수님의 12제자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여기 본문에는 빌립이 예수님으로부터 복음을 듣고 주님의 제자가 되는 과정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다른 주요 세 제자(베드로, 야고보, 요한)들과는 달리 빌립의 직업은 잘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의 고향이 갈릴리 바닷가 도시 벳새다요, 또한 베드로와 형제 안드레의 친구인 것으로 볼 때 그 역시 어부 출신이었으리라 짐작됩니다. 아무튼 그도 베드로나 안드레와 마찬가지로 주의 복음을 들은 이후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

[신약 인물 강해 설교] 빌레몬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중에서 빌레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빌레몬 제목 : 빌레몬 1. 바울의 동역자 빌레몬 1) 변치 않는 신앙인(계 2:4-5) 사도 바울의 3차 전도 여행 때 빌레몬은 에베소에서 바울로부터 복음을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지금 바울이 로마 옥중에 있는 순간까지 변치 않는 신앙으로 믿음 생활을 지속하는 신실한 신앙인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복음을 듣고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 첫 신앙을 변개치 않고 세월이 가더라도 끝까지 첫 신앙의 열정을 지속하는 것은 더없이 중요합니다. 여기 빌레몬은 바로 이런 불변하는 신앙의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그를 가리켜 동역자라 부를 정도였습니다. 2) 바..

[신약 인물 강해] 빌라도(책임 회피)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신약 인물 중에서 빌라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1 : 빌라도 제목 : 책임 회피 1. 직무를 유기한 빌라도 1) 치안 책임자(마 25:14-15, 고전 12:4-5, 눅 3:1, 마 27:24) '빌라도'라는 이름은 '창을 가진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빌라도는 아마 어려서부터 무사(武士)적인 기질이 있었던 듯합니다. 아무튼 그는 기사(騎士) 가문 출신으로 훗날 훌륭한 군인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이름 앞에 붙은 '본디오'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소아시아의 본도에서 전공(戰功)을 세워 로마 황실의 인정을 받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저런 사유로 인해 본디오는 예수님 당시 유대와 사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