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조직 신학 중에서 칭의와 양자와 성화 성도의 견인 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칭 의
자연인은 누구나 죄인이므로(욥9:2;전7:20;롬3:10) 하나님 앞에 의롭다 인정받아 영생에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의를 기초로 하여 죄인에 대한 율법에 모든 요구가 만족되었다고 선언하신 택한 자들은 하나님과 직접 교제할 수 있으며 죄의 공포에서 벗어나서 하나님의 축복에 참여할 수 있다.
1) 칭의의 성질
죄의 두가지 결과인 죄책과 오염 가운데 그리스도의 의를 기초로 하여 죄책(형벌)으로부터 벗어나 의롭다 선언함을 받은 성도의 칭의에는 아래와 같은 성질이 있다.
(1) 칭의는 인간의 공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이다(롬3:20-24;갈 2:16;빌3:9)
(2) 중생은 죽은 심령에서 소생되는 상태로 변화한다면 칭의는 죄인에서 의인으로 변화되는 법적 지위의 갱신이다.
(3) 칭의는 실질적으로 죄를 짓고 있으나 의인으로 간주한다는 하나님의 선언적인 행위이다.
(4) 하나님은 칭의의 근거로서 그리스도를 대속물로 설정하시고 그의 의를 성도에게 전가(轉 嫁)시키셨다(롬5:18,19).
(5) 칭의는 성령으로 거듭나서 그리스도를 영접할 때 즉각적으로 완성된다.
(6) 성도를 성화시키는 분은 성령이나, 의롭다고 선언하시는 분은 성부 하나님이시다.
2) 칭의의 요소
의로운 심판장이신 하나님의 재판석 앞에서 이루어지는 칭의와(롬3:20;갈3:11) 인간의 마음에 느껴지는 칭의는 두 요소를 갖는다.
(1) 소극적 요소
그리스도로부터 전가된 의로서 인간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죄를 용서받는다(시103:12;사44:22;롬5:21;8:1,32-34;히10:14)
(2) 적극적 요소
칭의로 인하여 하나님은 성도를 자녀로 삼으시며(요1:12;롬8:15,16;갈4:5,6), 영생하는 특권을 주신다(벧전1:4)
8. 양자
칭의의 적극적 요소로 하나님과의 자녀 됨을 다루기도 하나 양자 됨의 권세가 크기 때문에 다른 항목을 설정하는 것도 뜻깊은 일이다(요1:12). 성도는 중생으로 실질적인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으나, 칭의에 의한 법적 자격으로 하나님의 양자가 된다.
1) 양자의 개념
타락 이후 인간은 마귀의 자식이었으나(마3:7;요8:44;엡2:3) 칭의를 거쳐 의로우신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법적 지위를 얻고 과거의 죄에 대한 공포에서 해방되며(눅15:24) 또한 현재 성령의 내주를 체험하며(롬8:16,17) 신랑되신 그리스도와 끊임없이 교통하고(요15:5) 미래에는 그리스도와 마찬가지로 부활하며(롬6:5) 성부, 성자와 영원히 함께 살며(요14:1-3) 또한 하나님의 보좌 앞에서 영원히 그를 섬길 것이다(계7:14-17)
2)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르는 경우
양자의 영을 받은 자는 하나님 가운데 성부를 아버지로 부른다(롬8:15). 그러나 성경에는 이와 별개로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른 경우가 있다.
(1) 피조물은 만물의 근원인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른다(행17:28,29).
(2) 선택받은 이스라엘 민족이 선택자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른다(신32:6;사1:2;말1:6).
(3) 성자 예수께서 성부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른다(요1:14,15;14:10).
9. 성화
양자가 구원받은 성도의 법적 지위 변화인 반면 성화는 하나님의 원천적인 거룩을 내주하시는 성령의 도움으로 생활에 확대시켜 나가는 내면적인 성령의 변화로서 점진적 계속성을 갖는다.
1) 성화의 내용
성도가 거룩하여지는 것은 원칙적으로 성령의 초자연적인 역사로 가능하다(빌1:6;살전5:23). 그러나 이는 중생과 같이 잠재의식 속에서 성령이 단독적으로 역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 속에서 인간과 협력하여 이루어진다(롬12:9,16,17;갈6:7,8,15). 또한 이는 죄의 오염에서 해방되는 것이며(롬6:17,18) 점진적으로 잃어버린 하나님의 형상, 즉 그리스도의 모습을 닮아가는 것이다(엡4:24;골3:9,10).
2) 성화의 특징
(1) 성화는 소극적으로 인간의 죄악 된 성향을 제거하는 것이고(롬6;6;갈2:20;5:24), 적극적으로는 거룩하여져서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이다(롬6:11;갈2:19).
(2) 성화는 인간의 영혼과 육체, 그리고 지·정·의를 표현한 전인(全人)에게 영향을 미친다(롬 6:12;고전6:20;살전5:23).
(3) 성화는 칭의나 양자 같이 법적 지위 또는 신분상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불안, 공포, 절망 등을 몰아내고 기쁨, 소망, 평강을 증진시키는 현실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4) 성화는 현세에 완성되지 않으며(왕상8:46;잠20:9;롬3:10;약3:2;요일1:8). 개인의 종말(영혼)과 세상의 종말(육체) 때 완성된다(히12:23;계14:5).
3) 성화의 수단
(1) 하나님의 말씀
영적 활동의 동기와 목적 및 행동 방향을 제시하는 거룩한 생활의 객관적 표준이다.
(2) 성례
하나님 말씀의 가시적인 상징인 성례는 성화에 도움을 준다.
(3) 하나님의 섭리 (시119:71;롬2:4;히12:10).
(4) 기도와 묵상
하나님과의 대화를 통하여 거룩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요14:22).
10. 성도의 견인(堅忍)
하나님의 자비로우신 계획에 의하여 구원의 길로 들어선 성도는 성령의 지속적인 보호로 인하여 결코 구원의 대열에서 이탈할 수 없음을 밝히는 교리이다. 이 교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반대를 받으나, 전능하신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예정하심에 의해 그 반대를 불식할 수 있다.
1) 인간을 태만과 방종으로 인도한다
구원을 예정하신 하나님은 성령을 통하여 그의 생활까지 지배하므로 더욱 열심 있는 신앙생활을 하게 된다.
2) 인간의 자유와 모순된다
죄로 인해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에게 하나님은 영적선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을 지닌 회복된 자유의지를 주었으므로 성도의 견인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궁극적으로 모순되지 않는다.
3) 배교에 대한 경고와 모순된다.
하나님께서 택하지 아니한 자는 일시적으로 외적 신앙생활을 할 수 있으나 결국에 가서는 배교하고 만다(마24:12;골1:23;히2:1;6:1;요일2:6). 불택자(不擇者)는 성도의 견인에서 제외된 자이므로 이러한 배교의 경고가 그들에게도 적용된다(딤전1:19,20;딤후2:17,18;4:10;히6:4-6). 한편 택함을 받은 자에게 이 경고는 끊임없이 자기를 성찰하여 성화케 하는데 유익한 역할을 한다.
11. 영화
구원의 순서에 있어서 중생과 칭의로 구원이 보장되었으므로 이는 과거적 구원이며, 성화는 진행 중이므로 현재적 구원이고, 죄와 그 결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성결한 자리에 이르는 영화는 미래적 구원이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영육과 영화
영화에는 성도가 죽을 때 영혼이 죄악에서 완전히 벗어남으로 발생하는 영혼만의 영화와 육체적인 부활을 동반한 영육의 변화가 있다. 후자는 마지막 성도의 부활 때에 일어난다.
2) 성도의 영화된 모습
아마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모습과 유사할 것이다(눅24:16,30;요20:19;계21:4)
[조직 신학 연구] 기독론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조직 신학 중에서 기독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독론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점검해 본 결과 범��
drn153.tistory.com
반응형
'두란노 서원 기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 신학 연구] 천년왕국, 부활, 재림, 최후 심판 (0) | 2020.06.19 |
---|---|
[조직 신학 연구] 종말론 (0) | 2020.06.19 |
[조직 신학 연구] 교회 정치 (0) | 2020.06.18 |
[조직 신학 연구] 교회론 (0) | 2020.06.18 |
[조직 신학 연구] 소명, 중생, 회심 (0) | 2020.06.17 |
[조직 신학 연구] 구원과 성령 (0) | 2020.06.16 |
[조직 신학 연구]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 (0) | 2020.06.16 |
[조직 신학 연구] 그리스도의 직임 (0) | 202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