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란노 서원 구약 강해

[민수기 히브리어 원어 성경 강해] 레위 아들 게르손 고핫 므라리(민 3:14-26)

두란노 서원 2022. 1. 25. 13:40
반응형

민수기 3장에서는 레위 자손들이 아론의 대제사장 직분을 도와서 성막에서 일을 하게 됩니다. 레위의 아들들은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입니다.

 

레위 아들 게르손 고핫 므라리(민 3:14-26)

 

15절 피코드 에트 비네 레비 리베이트 아보탐 리미쉬피호탐 콜 자카르 미벤 호데쉬 바마일라 티피키뎀

성 경: [민3:15]

주제1: [레위인들의 직무와 가족 수]

주제2: [레위 지파의 계수 명령]

󰃨 종족과 가족을 따라 - 1:2 주석을 참조하라.

󰃨 일개월 이상의 남자 - 레위인의 인구 조사는 다른 지파의 조사 기준(20세 이상된 남자 계수; 1:3)과 달랐다. 왜냐하면 다른 지파의 계수는 징병 대상자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고, 단지 1개월 이상의 남자를 계수케 한 레위인 조사는 이스라엘 장자의 속전 (48)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런 고로 이스라엘의 장자들도 생후 1개월 이상부터 장자로 인정받아 속량 대상이 될 수 있었다(18:16). 한편 레위인 중 1개월 이상된 자들이 비록 성막 일을 할 수 있는 어떤 힘을 가지지 못했다 하더라도, 그들은 이스라엘 장자들의 속전(18:15, 16)이라는 점에서 하나하나가 귀한 존재였다.

16절 바이피코드 오탐 모셰 알 피 아도나이 카아셰르 치바

성 경: [민3:16]

주제1: [레위인들의 직무와 가족 수]

주제2: [레위 지파의 계수 명령]

󰃨 말씀을 좇아 - 다른 말로 표현하면, '말씀에 의거하여'란 의미이다. 즉 모세의 모든 행동과 선포는 결코 자신의 사사로운 견해가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거한 것이었다. 이러한 계시 의존적인 삶은 오늘날 바로 우리들 역시 추구해야 할 삶의 원리이다. 이와 같이 우리들이 말씀을 좇을 때 아브라함처럼 신앙의 행군을 거듭할 수 있으며(12:4), 시편 기자의 고백처럼 성결한 삶을 살 수 있고(119:9), 베드로처럼 하나님의 이적적인 섭리를 체험할 수 있다(눅 5:4-6).

17절 바이히우 엘레 비네 레비 비쉬모탐 게리숀 우키하트 우미라리

18절 비엘레 쉬모트 비네 게리숀 리미쉬피호탐 리비네 비쉬미이

19절 우비네 키하트 리미쉬피호탐 아므람 비이치하르 헤비론 비이지엘

20절 우비네 므라리 리미쉬피호탐 마힐리 우무쉬 엘레 헴 미쉬피호트 하레비 리베이트 아보탐

성 경: [민3:17, 18, 19, 20]

주제1: [레위인들의 직무와 가족 수]

주제2: [레위 지파의 계수 명령]

󰃨 레위의 아들들의 이름은 이러하니 - 게르손, 고핫, 므라리는 야곱의 셋째 아들인 레위의 아들들이며, 이들을 기준으로 전() 레위인을 게르손 계열, 고핫 계열, 므라리 계열로 나누었다(6:18-20). 한편 성경에 언급된 족보는 무의미한 이름들의 나열이 아니라, 그 이름들 속에 담겨 있는 역사를 가장 함축적으로 묘사한 소() 역사라 할 수 있다.

󰃨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 - 이들은 레위의 장남, 차남, 삼남이다(6:16). 한편 모세와 아론은 고핫의 손자이다(6:18-20).

21절 리게리숀 미쉬파하트 하리비니 우미쉬파하트 하쉬미이 엘레 헴 미쉬피호트 하게리쉬니

22절 피키데헴 비미시파르 콜 자카르 미벤 호데쉬 바마일라 피키데헴 쉬비아트 알라핌 바하메쉬 메오트

23절 미쉬피호트 하게리쉬니 아하레 하미쉬칸 야하누 얌마

24절 우니시 베이트 아브 라게리쉬니 엘리야사프 벤 라엘

25절 우미쉬메레트 비네 게리숀 비오헬 모에드 하미쉬칸 비하오헬 미키세후 우마사크 페타흐 오헬 모에드

26절 비칼리에 헤하체르 비에트 마사크 페타흐 헤하체르 아셰르 알 하미쉬칸 비알 하미즈베아흐 사비브 비에트 메타라이브 리콜 아보다토

성 경: [민3:21, 22, 23, 24, 25, 26]

주제1: [레위인들의 직무와 가족 수]

주제2: [게르손 자손의 수효와 임무]

여기에는 게르손 자손의 총계와 성막 주변의 거주 위치 및 맡은 바 소임에 관해 언급되어 있다(4). 즉 이들의 남자 수는 7,500명이며, 게르손 자손의 족장은 엘리아삽(:하나님은 더하셨다)이었다. 그리고 이들이 성막에서 수종들 위치는 성막의 서편이었으며(2:34 도표 참조). 또한 성막을 이동할 때 맡은 부분은 성막과 그 주위 뜰의 포장에 이르기까지 성막에 소용되는 모든 천막류였다. 그런데 이 부분의 번역상 개역성경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많다. 25절의 성막이라 함은 회막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회막 본체를 최초로 덮는 열폭의 제 1앙장(출 26:1-6)을 말하고, 장막은 그 '성막' 위를 덮는 염소털로 된 제 2앙장(출 26:7-13)을 가리킨다. 그리고 덮개는 '장막' 위를 덮는 수양의 가죽으로 만든 제 3앙장과 해달 가죽으로 만든 그 웃덮개, 곧 제 4앙장 (26:14)을 각기 지칭한다. 그리고 회막 문장이란 성소 뜰에서 성막 본체로 들어가는 입구의 휘장을 말한다(26:36; 36:37). 한편 게르손 자손이 레위의 장자 후손이라는 점에서 비록 그 맡은 바 소임은 고핫 자손의 중요도보다 뒤떨어지지만 순서상으로는 제일 먼저 언급된 것 같다.

성 경: [민3:26]

주제1: [레위인들의 직무와 가족 수]

주제2: [게르손 자손의 수효와 임무]

󰃨 뜰의 휘장 - 성막 뜰에 둘러친 세마포 휘장을 말한다(27:9). 이는 거룩하신 하나님과 죄인 된 인간 사이의 뚜렷한 간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간격은 후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영원한 대속 제물이 되심으로써 완전히 좁혀졌다.

󰃨 뜰의 문장(門帳) - 성막 외부에서 성막의 뜰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통과하는 문의 휘장(curtain)을 말한다(27:16). 성소 출입은 오직 이 문을 통해서만 가능했는데, 이는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양의 문'이 되신 예수 그리스도(10:9;14:6)뿐이라는 사실을 예표하는 기능을 한다.

󰃨 줄들 - 붉게 물들인 수양 가죽 덮개(3앙장)와 해달 가죽 덮개(4앙장)를 잡아매는 줄을 말하는 것 같다(출 35:18).

[레위기 9장 복음 성경말씀] 제사장 직무를 시작함(레 9:1-24)

 

[레위기 9장 복음 성경말씀] 제사장 직무를 시작함(레 9:1-24)

레위기 9장에서는 제사장이 위임식을 거행하고 나서 제사장 직무를 시작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구속사 관점에서 제사장이 위임을 받았다는 것은 성도가 구원의 은혜를 받은 것은 상징

drn15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