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성경 지명 이름 설교문 중에서 가인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명연구 : 가인 Kain
이 명칭은 인명과 지명에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어원적 의미는 '얼음'이라는 뜻의 히브리어에서 파생되었다. '금속을 제련하다' 또는 '대장장이'라는 어원과도 관련이 있다.
1. 인명으로서의 가인
1)아담과 하와 사이에 낳은 맏아들이다. 아벨은 목자였으나 가인은 땅을 경작하는 농사꾼이었다.
2) 겐 족속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 단수형 집합 명사이다. 민24:22의 발람의 예언 가운데 나오고, 개역성경 삿 4:11에서는 겐 사람으로 번역된다.
2. 지명으로서의 가인
1) 위치
유다의 산악 지대 남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헤브론의 남동쪽 6Km 길벳 야킨(Khirbet Yaqin)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수15:57).
2) 전승에 의한 견해
아랍 전승에 의하면 가인 근처의 언덕에서 아브라함이 소돔과 고모라의 파멸을 증언하였다고 한다.
3) 여러 사람의 견해
가인을 겐 족속의 땅으로 본다. 다른 사람들은 겐 족속의 땅이 가인이 아니라 사노아(Zanoah)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수 15:56,57의 '가인과 사노아'가 '가인(겐 사람)의 사노아'로 읽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57절의 열 성읍을 아홉 성읍으로 보는 것이 옳으며 삿 4:11의 '미카인'은 개역 성경에서'자기 족속을 떠나'로 되어 있으나 '호밥의 자손 중 겐 사람 헤벨이 가인을 떠나'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3. 겐 사람(Kenites)
1) 어원적 의미
히브리어 어원으로는 '(동을 다루는) 대장장이'의 뜻이 있고 아람어 역시 '대장장이'의 뜻을 갖고 있다.
2) 민족의 주업
금속 제련을 주로 하는 유목 또는 반유목 민족이다.
3) 위치
기원전 13세기 초에 역사에 등장하는데 텔 하라드 남쪽의 바위가 많은 지역에 주로 거주했다(민24:1삿1:6). 텔 하라드는 다마르 위쪽 광석이 풍부한 와디 하라비아(Wadi Arabad) 고원 지대 서쪽 기슭에 위치한다.
4) 생활 방식
고대의 겐 족속은 슬라이브족과 유사한 유랑 집단인데 가난한 슬라이브족보다는 부유하였고 주변에서 존경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대장장이나 땜장이 집단을 형성하여 나귀에 연장을 싣고 다니며 연장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였고 악기를 연주하거나 점을 쳐주기도 하였다.
원어설교 : 가인 Kain
가인 קין : 카인 Kain
수15:57 가인과 기브아와 딤나니 모두 열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가인은 헤브론 남동쪽 약 6Km 지점에 위치한 산악지대로서 유다 산지의 한 촌락이었습니다. 이 지역은 헤브론 남동쪽에 있는 기르벤 야킨과 동일시 되고 있으며(수15:57), 아랍 전승에 따르면 가인 근처의 언덕에서 아브라함이 소돔과 고모라의 파멸을 증거 하였다고 합니다. 히브리어 '가인'이라는 말은 '얻음'이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금속을 제련하다' 또는 '대장장이'라는 어원과도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가인은 연단을 통한 유익을 교훈합니다
가인이라는 지역의 어원과 가인이라는 인물의 어원은 동일합니다. 아담은 아들을 낳고 득남의 기쁨으로 인하여 그 이름을 '가인'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득남의 기쁨 이전에 먼저 산고의 고통이 있었습니다. 아담과 하와가 범죄 한 후에, 아담은 노동을 하고 수고하여 흘린 땀의 소산을 먹어야 했고, 하와는 잉태하고 아이를 낳는 커다란 고통을 당하여야 했습니다. 그러나 가인의 탄생에서 보이듯이 잉태는 고통인 동시에 기쁨입니다. 산고는 아이의 탄생과 함께 기쁨으로 변합니다. 이는 마치 어두운 밤이 지난 후에 새벽이 밝아오는 것과도 같습니다. 대장장이가 쇠를 강하게 치면 칠수록 쇠가 단단해지는 것처럼 고통이 클수록 얻게 되는 기쁨도 큰 것입니다. 이처럼 '가인'이라는 말은 고통스러운 연단을 통하여 얻게 되는 성도들의 기쁨과 유익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2. 연단을 통하여 성도를 성장시킵니다
독수리는 자신의 새끼가 어느 정도 성장하고 나면 나는 법을 가르치기 위하여 둥지에 있는 나뭇가지를 하나씩 뜯어 낸다고 합니다. 그러면 새끼는 날개를 퍼덕이며 나는 법을 배워 날아가든지 아니면 둥지에서 떨어져 죽거나 부상당하게 됩니다(신32:11).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성장하여 믿음의 날개를 달고 훨훨 날아가는 성숙한 사람이 되기를 원하시고 계십니다. 그래서 때로 우리를 연단하십니다. 연단이 당시에는 즐거워 보이지 않고 슬퍼 보이나 후에 그로 말미암아 연단한 자에게는 의의 평강한 열매를 맺게 되는 것입니다(히12:11). 이 세상은 우리를 연단시켜 주는 훈련장과도 같습니다. 우리가 만나는 많은 사건들은 하나님의 섭리와 뜻을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속에 등장하는 어려운 연단을 이기면서 우리는 우리를 성장시키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느낄 수가 있는 것입니다.
3. 연단의 때를 만나면 기쁘게 여겨야 합니다
찌꺼기가 없는 순수한 금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풀무에 금을 넣습니다. 풀무가 찌꺼기를 분리해 내어 찌꺼기를 태워 없애듯이 하나님께서도 연단을 통하여 사람들의 죄를 깨끗하게 하십니다(잠17:3). 도가니는 은을 연단하기 위하여 있고 풀무는 금을 연단하기 위하여 있듯이 우리들의 마음을 연단하기 위하여 고통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연단을 위한 시험을 만날 때 두려워하거나 피하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야고보서 기자는 "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을 만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약1:2)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고통과 고난을 싫어하며, 이는 그리스도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도 이를 반기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쓴 약이 몸에 좋다는 이유로 먹듯이 우리는 시험과 고난을 기쁨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한국교회 이단 연구] 이단 계보
안녕하세요. 오늘도 두란노 서원을 찾아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오늘은 한국교회 이단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고 한국교회에 이단 사상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미리 말씀으로 무장하여 성도들��
drn153.tistory.com
'두란노 서원 구약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지명 강해 설교말씀] 갈그미스 Carchemish (0) | 2020.05.04 |
---|---|
[성경 인물 강해 설교말씀] 느부갓네살(바벨론 포로) (0) | 2020.05.04 |
[구약성경 지명 설교말씀] 갈골 Karkor (0) | 2020.05.04 |
[성경 속 지명 설교말씀] 갈가 Karka (0) | 2020.05.03 |
[성경 인물 이름 설교말씀] 노아(하나님과 동행하는 삶)-7 (0) | 2020.05.02 |
[하나님 말씀] “골리앗의 실패 원인”(삼상 17 : 41-49) (0) | 2020.05.02 |
[성경인물 강해 설교말씀] 노아(믿음의 순종)-6 (0) | 2020.05.02 |
[성경 인물 강해 설교말씀] 노아(은혜를 입은 자)-5 (0) | 2020.05.01 |